-
강아지, 고양이 접종 해야되는 이유반려동물에 대한 지식(A~Z) 2021. 6. 6. 21:23반응형
안녕하세요~ 돈코코입니다!
오늘은 제가 동물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많이 들었던 질문 중 하나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첫 접종만 하면 안 되나요?
왜 매년 접종을 해야 되나요?보통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이나
처음 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이
이러한 질문을 많이 해주십니다!
왜 접종을 해야 하는지, 접종의 종류와
예방 가능한 질병까지 알려드릴 테니
꼭 끝까지 봐주세요!
<접종을 해야 되는 이유>
예방접종과 관련된 질환들은 모두
걸리게 되면 치명적인 질환들입니다.
예방접종은 이러한 치명적인 질환들에 대해
항체를 만들어 놓고 추후에 세균, 곰팡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되어도
큰 후유증이 없이 지나가거나 초기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매년 접종을 추천드리는 이유는
약 1년 주기로 항체가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강아지의 접종>
1. 종합백신: 가장 기본이 되는 백신으로 홍역, 간염, 파보 장염, 파라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의 항체를 위한 접종들입니다.
2. 코로나 장염: 지금 떠들썩한 사람이 걸리는 코로나와는 엄연히 다른 질병으로 증상은 장염으로 오게 됩니다.
치사율은 높지 않지만 구토와 설사로 탈수 증세가 올 수 있으며 파보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2차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3. 기관지염: 켄넬 코프라 불리는 전염성이 강한 기관지염입니다.
4. 광견병: 인수공통 전염병으로 주로 야생동물에 의해 유발되며 어떤 상처를 통해 체내에 들어온 바이러스로 인해 신경마비와 광폭 증상을 보이며 매우 높은 확률로 고통스럽게 죽는 질환입니다.
매년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기간이 있으니 반드시 맞춰주셔야 합니다!
5. 신종플루: 사람으로 따지면 감기 같은 증상이지만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때문에 다견을 키우신다면 꼭 접종을 해주셔야 합니다.
<고양이의 접종>
고양이 접종도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예방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질환들입니다.
특히 길 고양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이 있으니
집안에서만 기르시더라도 반드시 추가접종을 해주셔야 합니다!
3종 종합백신
1. 범백혈구 감소증: 고양이 전염성 장염이라고도 불리며 고양이 파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납니다. 혈액 속에 모든 백혈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심한 장염을 일으키며 치사율이 높습니다.
2. 바이러스성 비기관염: 호흡기 질환으로서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기침, 재채기를 하며 컥컥거리는 소리를 냅니다.
3. 칼리시 바이러스: 걸리고 치료해도 잠깐 좋아졌다가 다시 재발하는 확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감염성이 강하고 주로 감기와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4종 종합백신
1. 3종 종합백신 + 백혈병 바이러스: 백혈구에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죽어서 더욱 위험한 질환입니다. 또한 감염성이 매우 강하니 고양이를 2마리 이상 키우시면 반드시 접종해주셔야 합니다.
단독백신
1. 전염성 복막염: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생기는 원인으로서 전신의 장기에 침입하여 복막염으로 복수가 차거나 가슴에 물이 차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다 할 증상은 없고 오히려 식욕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점점 쇠약해져 갑니다.
2. 광견병: 인수공통 전염병이며 주로 야생동물에 의해 유발되며 어떤 상처를 통해 체내에 들어온 바이러스로 인해 신경마비와 광폭 증상을 보이며 매우 높은 확률로 고통스럽게 죽는 질환입니다.
매년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기간이 있으니 반드시 맞춰주셔야 합니다!
3. 클라미디아: 흔히 고양이 눈병이라 불리며 세균에 감염됨에 따라 발생합니다. 주로 눈곱이 끼고 결막이 붓는 등 전형적인 눈병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4. 면역결핍 바이러스: 고양이과 동물들에게만 일어나는 질환으로 면역 저하로 인해 만성 구내염, 치은염, 기도염 등과 함께 설사와 빈혈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반응형'반려동물에 대한 지식(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랑 맞는 반려견 찾기! (0) 2021.06.08 시츄의 특징과 질병 (0) 2021.06.07 중성화 수술 해야 되는 이유 (0) 2021.06.04 포메라니안 특징과 질병 (1) 2021.06.03 {동물 보건사}동물병원에서 자주 받는 질문들 - 구충 - (0) 2021.06.02